천문학 시뮬레이션

일주 운동 (WebGL)
사용자의 위치 접근을 요청받으면 허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서버에 저장되지 않습니다. 일주운동 밤에 북극성을 향해 사진기를 고정하고, 몇 시간 동안 촬영하면 별들이 북극성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면서 움직인 것을 볼 수…
Read more

푸코의 진자 (WebGL)
푸코의 진자는 지구의 자전을 실험으로 증명한 사례입니다. 1851년 프랑스의 물리학자 장 베르나르 푸코는 판테온(프랑스의 국립묘지)의 돔에서 길이 67m, 질량 28㎏의 추를 매달고 실험을 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wikimedia.org 실험 결과, 진자의 진동면은 예상대로…
Read more

지구 공전과 계절 변화 (WebGL)
사용자의 위치 접근을 요청받으면 허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서버에 저장되지 않습니다. 지구 자전축과 계절의 변화 지구의 자전축은 공전축에 대해 약 23.5˚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습니다. 이렇게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봄, 여름,…
Read more

겉보기등급, 절대등급, 그리고 별까지의 거리 관계
별의 밝기와 겉보기 등급 고대 그리스의 히파르코스는 밤하늘의 별(항성)들을 밝기에 따라 구분했습니다. 가장 밝게 보이는 별을 1등성, 가장 어둡게 보이는 별을 6등성으로 하고, 그 사이에 해당하는 별들을 밝기에 따라 2, 3, 4,…
Read more

별의 시차 – 3D VR
시차 어떤 물체가 가까이 있을 때는 자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물체가 멀리 있을 때는 직접 자로 재기 어렵습니다. 이런 때에는 어떤 방법으로 거리를 알아낼 수 있을까요? 사람의 눈은 좌우로…
Read more

달의 한쪽 면만 보이는 이유
달의 한쪽 면만 보이는 이유 지구에선 항상 달의 앞면만 보입니다. 마치 달은 뒷면을 지구에게 보여주기 싫어하는 듯 보입니다. 이것은 달의 자전주기와 공전주기가 같아서 지구에서는 항상 달의 같은 면만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