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 시뮬레이션

Daylight Map

세계 시각, 낮과 밤

사용자의 위치 접근을 요청받으면 허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서버에 저장되지 않습니다. 낮과 밤 지구는 구형이므로 지표면의 절반만 햇빛을 받게 됩니다. 지표면이 햇빛을 받을 때가 낮, 햇빛을 받지 않을 때가 밤이 됩니다. 낮과 밤이 동시에 나타난다는 것은 지구가 평평하지...

3D Location of the Ursa Minor(Polaris)

작은곰자리(북극성) 별들의 3차원적 위치

별자리와 별까지의 거리 맑은 날 밤에 불빛이 없는 곳에서 하늘을 보면 발고 어두운 별들이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습니다. 수천 년 전 고대인들은 별을 서로 연결하여 동물이 물건, 신화 속 인물의 이름을 붙여 별자리를 만들었습니다. 별자리는 밝은 별 주변의 여러...

Latitude of Polaris

북극성의 고도

북극성의 고도 북극성은 지구로부터 먼 곳에 있기 때문에 북극성에서 출발한 빛은 지구에 평행하게 도달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둥근 모양이기 때문에 지구의 어디에서 관측하느냐에 따라 북극성의 고도가 달라지게 됩니다. 마침, 북극성은 지구의 자전축을 연장한 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북극성의 고도는 관찰자가 위치한...

Why does the moon seem to follow me?

달이 자꾸 나를 따라와요.

정말로 달이 나를 따라오는 것일까요? 달이 나를 따라오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실제로 달은 나를 따라오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내가 자동차를 타고 앞으로 이동하면 풍경이 뒤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자동차가 10m 앞으로 이동하면 풍경은 정확히 10m 뒤로...

Stellar Classification

별의 등급

물체의 표면 온도와 색깔 쇠를 가열하면 처음에는 검붉은 색을 띠지만 쇠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점점 노란색에 가까운 색을 띱니다. 이것은 쇠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쇠가 방출하는 빛의 색깔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가열된 쇠의 색깔이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별의 색깔도 표면...

별자리판

별자리판

별자리판 보는 법 별자리판은 두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바깥 판에는 날짜가 적혀 있고, 안쪽 판에는 시간이 적혀 있고 타원형의 구멍이 뚫려 있습니다. 타원형의 구멍으로 들여다 보이는 것이 특정 날짜 및 특정 시간에서의 하늘(천구)의 모습입니다. 두 개의 판 중 어느...

Parallel Rays of Sun

햇빛은 평행한가?

평행하게 입사하는 햇빛 태양의 복사 에너지는 사방으로 퍼져나갑니다. 그런데 태양과 지구는 서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보통은 거의 평행하게 입사한다고 가정합니다. 고대 그리스의 에라토스테네스는 태양빛이 평행하게 지구를 비추고 있다는 가정하에 지구의 크기를 꽤 정확하게 측정하기도 했습니다. 태양에서 온 빛이 실제로...

Parallax of Eyes

눈의 시차

시차 어떤 물체가 가까이 있을 때는 자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물체가 멀리 있을 때는 직접 자로 재기 어렵습니다. 이런 때에는 어떤 방법으로 거리를 알아낼 수 있을까요? 사람의 눈은 좌우로 하나씩 있습니다. 왼쪽 눈으로 바라보는 세상은 오른쪽 눈으로...

내행성의 최대이각

내행성의 최대이각

내행성의 최대이각 내행성은 지구 궤도 안쪽을 도는 행성을 말합니다. 지구에서 바라볼 때 태양 근처를 돌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새벽이나 저녁즈음에 밝게 빛나는 금성은 항상 태양 주변에서만 발견됩니다. 그래서 한밤중에는 볼 수 없습니다. 내행성이 태양과 이루는 각도를 이각이라고 부르고, 태양으로부터 최대한...

Stellar Parallax

별의 시차

시차 어떤 물체가 가까이 있을 때는 자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물체가 멀리 있을 때는 직접 자로 재기 어렵습니다. 이런 때에는 어떤 방법으로 거리를 알아낼 수 있을까요? 사람의 눈은 좌우로 하나씩 있습니다. 왼쪽 눈으로 바라보는 세상은 오른쪽 눈으로...

지평 좌표계

지평 좌표계

천구의 좌표계 맑은 날 밤하늘을 보면 마치 수많은 별이 멀리 떨어진 구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 구면을 천구라고 합니다. 즉, 천구는 관측자를 중심으로 하는 무한히 큰 가상의 구형 하늘입니다. 천구에는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기준이 되는 점과 선을...

적도 좌표계

적도 좌표계

천구의 좌표계 맑은 날 밤하늘을 보면 마치 수많은 별이 멀리 떨어진 구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 구면을 천구라고 합니다. 즉, 천구는 관측자를 중심으로 하는 무한히 큰 가상의 구형 하늘입니다. 천구에는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기준이 되는 점과 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