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 시뮬레이션

Geocentrism and Heliocentrism

지구중심설 vs. 태양중심설

지구중심설, 천동설 천동설은 지구가 중심에 있고, 모든 별들이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한다는 우주관입니다. 지구가 우주의 중심에 있다는 점 때문에 지구중심설이라고도 합니다. 13세기부터 17세기까지는 로마 가톨릭교회를 비롯한 기독교 사회에서 널리 공인된 세계관이었습니다. 태양중심설, 지동설 지동설은 태양이 중심에 있고, 지구를 비롯한 별들이 태양을...

중력 렌즈

중력 렌즈

시공간의 휘어짐 상대성 이론으로 유명한 아인슈타인은 중력을 힘으로 생각하지 않고 물체의 질량이 시공간을 휘게 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이 때 질량이 클수록 시-공간의 휘어진 정도가 큽니다. 이를 통해 물체가 낙하하거나 행성이 태양 주위를 도는 것도 휘어진 시공간을 따라 물체가 운동하는 것으로 보았으며...

Phase of the Moon

달의 위상 2

달의 위상 태양, 지구, 달 중에서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는 태양뿐이며 지구와 달은 반사체로서 태양의 빛을 반사할 뿐입니다. 지구와 달은 구형의 모양을 하고 있으므로, 태양빛을 받는 부분은 빛을 반사하여 밝게 보이고, 태양빛을 받지 못하는 부분은 어둡게 보입니다.

Diurnal Motion (WebGL)

일주 운동 (WebGL)

사용자의 위치 접근을 요청받으면 허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서버에 저장되지 않습니다. 일주운동 밤에 북극성을 향해 사진기를 고정하고, 몇 시간 동안 촬영하면 별들이 북극성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면서 움직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별이 하루에 한 바퀴씩 원을 그리며...

Foucault Pendulum (WebGL)

푸코의 진자 (WebGL)

푸코의 진자는 지구의 자전을 실험으로 증명한 사례입니다. 1851년 프랑스의 물리학자 장 베르나르 푸코는 판테온(프랑스의 국립묘지)의 돔에서 길이 67m, 질량 28㎏의 추를 매달고 실험을 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wikimedia.org 실험 결과, 진자의 진동면은 예상대로 시계방향으로 천천히 회전하였습니다. 진자에 작용하는 힘은 지구의 중력과...

Keplers law

케플러의 법칙

케플러와 티코 브라헤 케플러(Johannes Kepler 1571∼1630)의 이야기를 하기 전에 반드시 언급해야 하는 천문학자가 있습니다. 바로 티코 브라헤입니다. 티코 브라헤(Tycho Brahe 1546∼1601)는 덴마크의 유명한 천문학자 입니다. 그는 천문기기 개발과 함께 별들의 위치에 대한 방대한 자료를 남겨 이후의 천문학 발달에 큰 공헌을...

Doppler Effect

도플러 효과

도플러 효과 구급차의 사이렌 소리를 듣고 구급차가 점점 가까이 오고 있다는 것을 느낀 경험이 있습니다. 구급차가 다가올 때는 사이렌 소리가 높아지고, 멀어질 때는 사이렌 소리가 낮아집니다. 즉, 구급차가 사이렌 소리를 내며 다가올 때는 음파의 파장이 짧아지고(높은 음), 멀어질 때는 음파의...

겉보기등급, 절대등급, 그리고 별까지의 거리 관계

겉보기등급, 절대등급, 그리고 별까지의 거리 관계

별의 밝기와 겉보기 등급 고대 그리스의 히파르코스는 밤하늘의 별(항성)들을 밝기에 따라 구분했습니다. 가장 밝게 보이는 별을 1등성, 가장 어둡게 보이는 별을 6등성으로 하고, 그 사이에 해당하는 별들을 밝기에 따라 2, 3, 4, 5등성으로 구분했습니다. 19세기에 이르러 과학자들은 별의 밝기를 정확하게...

Stellar Parallax - 3D VR

별의 시차 – 3D VR

시차 어떤 물체가 가까이 있을 때는 자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물체가 멀리 있을 때는 직접 자로 재기 어렵습니다. 이런 때에는 어떤 방법으로 거리를 알아낼 수 있을까요? 사람의 눈은 좌우로 하나씩 있습니다. 왼쪽 눈으로 바라보는 세상은 오른쪽 눈으로...

Why do we see only one side of the moon?

달의 한쪽 면만 보이는 이유

달의 한쪽 면만 보이는 이유 지구에선 항상 달의 앞면만 보입니다. 마치 달은 뒷면을 지구에게 보여주기 싫어하는 듯 보입니다. 이것은 달의 자전주기와 공전주기가 같아서 지구에서는 항상 달의 같은 면만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달은 한번 공전하는 동안 정확히 한번 자전합니다....

Apparent Motion of Venus

금성의 시운동

금성의 위상과 크기 변화는 지동설의 강력한 증거입니다. 금성은 태양과의 각도에 따라 초승달처럼 보이기도 하고, 보름달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초승달처럼 보일 때 금성의 크기는 매우 큽니다. 보름달처럼 보일 때 금성은 매우 작게 보입니다. 금성이 초승달처럼 보이려면 금성이 태양보다 가까이 있어야 합니다. 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