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a CRT TV works

브라운관 TV의 원리

브라운관 TV 브라운관 TV는 음극선(Cathode-Ray)을 이용한 영상 수신 장치입니다. 2000년대 중반까지 TV 수신기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부피가 크고 무겁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이후 LCD, OLED TV로 대체되면서 점차 사라지게 되었고, 지금은 몇몇 특수 분야에서만 사용되고 있습니다. 브라운관 TV의 작동 원리 음극선관(Cathode-Ray … more

Magnetic Field around a Coil

코일 주위의 자기장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자기장은 자석 주위에만 생기는 것이 아니라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에도 생깁니다. 이것은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에 놓은 나침반의 자침이 회전하는 모습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직선 도선 주변에 나침반을 놓았을 때,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나침반의 자침은 남북을 … more

AC Power Generator

교류 발전기

교류 발전기 코일 주위에서 자석을 움직이면 코일 내부의 자기장이 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전자기 유도’라고 하고, 이때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유도 전류’입니다. 자석을 움직이는 대신 코일을 움직여도 결과는 같습니다. 코일을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시키면 매끄러운 … more

전자 촛불

전자 촛불

무선충전기 위에 올려 놓으면 깜박거리는 전자 촛불입니다. 코일 내부의 자기장이 변화하면 전기에너지가 발생되고, 이 전기 에너지로 LED가 밝게 빛납니다. 무선충전기는 항상 전기 에너지를 전송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평상시에는 무선충전기 위에 어떤 물체가 올라오는지 계속적으로 대화(통신)을 시도합니다. 대량의 에너지를 계속 전송할 … more

Speaker

마이크와 스피커

주변의 소리를 인식하여 시뮬레이션이 작동합니다. 마이크 감지를 위해 모바일 기기의 매너 모드를 해제해 주세요. PC의 경우, 마이크 사용 권한을 허가해 주세요. 음성 데이터는 서버 등에 저장되지 않습니다. 개인정보 취급방침 스피커 일반적인 스피커는 전자기력의 원리를 이용한 것입니다. 보이스 코일의 주변에는 영구자석에 … more

Electric Transformer

변압기

* 여자전류가 ‘0’인 이상적인 변압기를 가정했습니다. 변압기는 교류 전압의 전압을 간단하게 바꾸기 위한 장치입니다. 변압기를 이용하면 교류 전원의 전압을 간단하게 바꿀 수 있습니다. 반면에, 직류 전원의 경우는 이와 같이 전압을 간단하게 변경하기 어렵습니다. 변압기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more

Inductor application circuit

인덕터 응용 회로

코일, 초크 또는 리액터라고도하는 인덕터는 자기장의 변화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이끌어내거나, 또는 그 반대 작용을 하는 부품입니다. 인덕터는 교류 전자 장비, 특히 무선 장비에 널리 사용됩니다. * 이 시뮬레이션은 마우스로 눌러 주는 동안만 작동됩니다. * 모바일 기기의 경우, 화면을 계속 누르고 … more

인덕터를 이용한 전자촛불 만들기

인덕터를 이용한 전자촛불 만들기

실험 안내 인덕터는 보빈(심)에 코일이 감긴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인덕터에 전류를 흘려주면, 인덕터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됩니다. 전자석의 원리와 같이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만들어 냅니다. 반대로, 인덕터를 이용하면 자기장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만들어 낼 수도 있습니다. 인덕터를 이용하면, 원하는 전압을 손쉽게 … more

R-L-C Serial Circuit Simulation

RLC 직렬 회로

RLC 직렬 회로 저항(R)-인덕터(L, 코일)-커패시터(C, 축전기)가 직렬로 연결된 회로를 생각해 봅시다. 매순간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회로의 어디서나 같습니다. (매우 중요하니, 꼭 기억해 둡시다.) 전류는 전체적으로 일정하지만, 각각의 부품에 걸린 전압의 높이는 각각 다릅니다. 인덕터에 형성되는 전압은 역기전력으로 인한 것입니다. 교류 … more

LC Oscillator

LC 진동 회로

LC 진동 회로 충전시킨 커패시터(축전기)에 인덕터(코일)를 연결해주면 전기적인 진동이 일어납니다. 충전되었던 커패시터가 방전되면서 인덕터에 자기장의 변화가 생깁니다. 이 자기장의 변화로 인해 인덕터에 기전력이 유도됩니다. 인덕터의 기전력으로 커패시터는 다시 충전됩니다. 만약 저항이 ‘0’이라면 이 진동은 영원히 유지됩니다. 하지만, 실제 회로에서는 저항이 …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