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e circuit

같은 회로

같은 회로 전기 회로에서 전압은 전지의 양끝단에서 발생합니다. 이 전압이 해소되는 곳은 ‘부하(load)’라고 부릅니다. 일반적인 교재에서 ‘부하’는 주로 전구 또는 저항으로 대체되어 표시됩니다. 일반적인 도선은 저항이 ‘0’이라고 가정하기 때문에 전압 강하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어져 있기만 한다면 어떻게 변형되어도 같은 … more

Home wiring

건물의 배선

전기 기구들이 작동하도록 도선을 연결하여 옥내 배선을 완성하세요. 옥내 배선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 기구들은 저항값을 가지며, 이 전기 기구의 저항으로 인해 전류가 제한됩니다. 멀티탭이나 건물의 배선 등은 저항을 병렬 연결한 것입니다. 각 병렬 회로의 전기 기구들은 독립적으로 작동됩니다. 병렬 연결의 … more

Electric Circuits

전기 회로 시뮬레이터

이 시뮬레이션은 전기 회로를 높은 자유도로 구현한 것입니다. 전지, 도선, 전구, 전압계, 전류계를 원하는 대로 이어 붙여서 전기회로를 마음대로 꾸며 볼 수 있습니다. 저항을 클릭하면 저항값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의 경우 기종에 따라 1초 정도 누르고 있어야 합니다.) 전지를 클릭하면 … more

Electric Circuit Simulator (AC)

전기 회로 시뮬레이터(AC)

이 시뮬레이션은 전기 회로를 높은 자유도로 구현한 것입니다. 전지, 도선, 전구, 전압계, 전류계를 원하는 대로 이어 붙여서 전기회로를 마음대로 꾸며 볼 수 있습니다. 키르히호프 법칙(Kirchhoff’s Law)을 적용하여 오차없이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이 시뮬레이션은 중등학교 교과서 수준의 실험에 … more

Electric Potential

전위차 3

전압계에는 몇 V가 표시될까요? 직렬 연결에서의 전압 배분 2개 이상의 저항이 직렬 연결된 경우, 저항에 걸린 전압의 합은 전체 전압이 됩니다. 따라서 저항들은 그들의 저항값에 따라서 공급된 전압을 나누어 가져갑니다. 만약 직렬 연결된 저항의 크기가 서로 같은 경우, 저항들은 사이좋게 … more

Ohm's Law

옴의 법칙

옴의 법칙 전구와 전지를 도선으로 연결하면 전구에 불이 켜집니다. 이것은 도선을 따라 음전하(-)를 띤 자유 전자들이 이동하기 때문인데, 이와 같은 전하의 흐름을 전류라고 합니다. 전류를 물의 흐름으로 비유하여 설명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전류는 시간당 흘러나가는 물의 양으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 물이 … more

Wheatstone Bridge

휘트스톤 브리지

휘트스톤 브리지 전자 저울과 같은 전자식 측정기기들은 센서 물질의 저항 변화를 감지하여 대상을 측정합니다. 측정기기의 감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미세한 저항값의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때 주로 사용하는 회로로서 휘트스톤 브리지(Wheatstone Bridge) 회로가 있습니다. 휘트스톤 브리지 회로는 저항 … more

Capacitor Simulation

축전기

축전기 Capacitor 축전기(Capacitor, 커패시터)는 전하를 임시로 담아두는 부품입니다. 담긴 전하는 다시 흐르면서 일을 할 수 있습니다. 강물의 흐름을 전류라고 한다면 커패시터는 강물을 담아두는 댐으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 축전기는 얇은 두 금속판을 서로 가깝지만 닿지 않도록 하여 만듭니다. 이런 이유로 축전기의 … more

FND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 FND 여러 개의 LED를 배치하여 숫자 또는 16진수용 문자를 표시하는 부품을 세븐 세그먼트 디스플레이 또는 FND(Flexible Numberic Display)라고 부릅니다. 일곱 개의 LED만으로 0~9까지의 숫자를 모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전기밥솥, 디지털 벽시계, 증권사의 시황판, 자동판매기 등에 두루 … more

Stair Switch

계단 스위치

만약 계단에 스위치를 하나만 설치한다면? 어두운 계단을 밝혀줄 전등 스위치가 계단 위쪽에 하나만 있다고 가정합시다. 만약, 계단을 내려가려는 사람이 스위치를 눌러서 계단을 안전하게 내려온 다음에 불을 끄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다시 올라가서 끈 다음 다시 내려올까요? 즉, 이런 경우에는 내려온 …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