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yden Jar

라이덴 (Leyden) 병

라이덴 병 라이덴 병은 18세기에 만들어진 정전기를 저장하기 위한 도구(축전기)입니다. 라이덴 병은 유리 재질로서, 병 안쪽과 바깥에 각각 금속박이 둘러싸고 있습니다. 두 금속 박막은 서로 닿을 듯 가까이 배치되나, 실제로는 유리에 의해 서로 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한쪽 박막의 전하는 다른 … more

Triboelectricity

마찰전기

풍선을 고양이에게 문지르면 전기를 띠게 됩니다. 대전된 풍선을 벽이나 고양이에게 붙여 놓을 수 있습니다. 대전된 풍선은 일정 시간 후 방전되면서 굴러 떨어집니다. 마찰 전기 책이나 사탕을 포장한 얇은 비닐을 벗기면 비닐이 손에 붙어서 잘 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 건조한 … more

Electric field line

전기력선

전기력선 전기력선은 전하 주위의 전기장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점전하의 경우에는 전하를 중심으로 퍼져 나가는 형태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어떤 위치에서 전기장의 방향은 전기력선의 접선 방향이 되며, 전기력선이 촘촘할수록 전기장이 셉니다. 전기력선은 (+)전하에서 시작해서 (-)전하에서 끝납니다. 단, 무한대에서 시작하거나 끝나는 경우도 … more

Electroscope

검전기

검전기 검전기를 이용하면 물체의 대전 여부, 또는 전하의 극성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금속판에 (+) 대전체를 가까이 하면 금속박의 자유 전자들이 금속판으로 끌려가 금속박에는 (+) 전하가 유도됩니다. 금속박은 전기력에 의해 벌어집니다. 또, 금속판에 (-) 대전체를 가까이 하면 금속판의 자유 전자들이 밀려나 … more

Electrostatic Induction

정전기 유도

정전기 유도 현상 금속 막대에 대전체를 가까이 하면 대전체와 가까운 곳은 대전체와 다른 종류의 전하가 유도되고, 대전체와 먼 곳은 같은 종류의 전하가 유도됩니다. 이와 같이 금속에 대전체를 가까이 했을 때 전하가 유도되는 현상을 정전기 유도라고 합니다. 정전기 유도가 발생하는 이유 … more

Electrostatic induction (the viewpoint of metal bonding)

금속 결합 관점에서 본 정전기 유도

정전기 유도 현상 금속 막대에 대전체를 가까이 하면 대전체와 가까운 곳은 대전체와 다른 종류의 전하가 유도되고, 대전체와 먼 곳은 같은 종류의 전하가 유도됩니다. 이와 같이 금속에 대전체를 가까이 했을 때 전하가 유도되는 현상을 정전기 유도라고 합니다. 정전기 유도가 발생하는 이유 … more

Conductor and Insulator

도체와 부도체의 정전기 유도

정전기 유도 현상 금속 막대에 대전체를 가까이 하면 대전체와 가까운 곳은 대전체와 다른 종류의 전하가 유도되고, 대전체와 먼 곳은 같은 종류의 전하가 유도됩니다. 이와 같이 금속에 대전체를 가까이 했을 때 전하가 유도되는 현상을 정전기 유도라고 합니다. 정전기 유도가 발생하는 이유 … more

What if the water molecule have a straight structure?

만약 물 분자가 직선형 구조라면?

물 분자의 구조 물은 대표적인 ‘극성 분자’입니다. 물 분자를 이루는 수소-산소-수소의 결합은 104.5˚의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구부러진 모양으로 보입니다. 물 분자의 이러한 불균형 구조 때문에 산소쪽은 (-)전기를 띠고, 수소쪽은 (+)전기를 띱니다.

Charge Distribution on a thin Conductive Plate

얇은 도체 표면의 전하 분포

얇은 도체 표면의 전하 분포 도체판 위의 전하들은 (-)로 가정하였습니다. 도체판의 두께는 매우 얇은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도체판 위의 전하들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같은 극성의 전하들은 서로에게 척력을 행사하여 서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이동합니다. 전하들이 가급적 도체판의 가장자리로 가려는 이유는 …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