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정교배
검정교배 오스트리아의 수도사 멘델(Gregor Johann Mendel. 1822 – 1884)은 유전 법칙을 발견하던 시절에 순종인 완두를 가려내기 위해 검정교배 실험을 했습니다. 예를 들어, 노란색의 순종 완두를 얻고 싶으면, 노란 완두끼리 반복해서 교배를 시켜 주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녹색 완두는 계속...
검정교배 오스트리아의 수도사 멘델(Gregor Johann Mendel. 1822 – 1884)은 유전 법칙을 발견하던 시절에 순종인 완두를 가려내기 위해 검정교배 실험을 했습니다. 예를 들어, 노란색의 순종 완두를 얻고 싶으면, 노란 완두끼리 반복해서 교배를 시켜 주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녹색 완두는 계속...
ABO식 혈액형을 결정하는 유전자는 A, B, O 세 가지입니다. 자손은 혈액형을 결정하는 대립 유전자를 부모에게서 하나씩 물려받아 두 개를 가집니다. 이 두 개의 대립 유전자가 쌍을 이루어 혈액형이 결정됩니다. 대립 유전자 A와 B는 O에 대해 각각 우성이며, A와 B 사이에는...
멘델의 유전의 원리 오스트리아의 수도사 멘델(Gregor Johann Mendel. 1822 – 1884)은 완두를 재배하면서 완두의 유전인자가 입자와 같은 성격을 띠어 자손에게 전달된다고 주장하였으며, 완두를 이용한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유전의 기본 원리를 밝혔습니다. 멘델의 기본 가설 형질은 한 쌍의 유전 인자에 의해...
독립의 법칙 독립의 법칙은 멘델의 법칙 중 하나입니다. 두 쌍 이상의 대립 형질이 동시에 유전될 때 각각의 형질을 나타내는 유전자는 다른 유전자에 영향을 주지 않고, 독립적으로 분리의 법칙에 따라 유전됩니다.
광학 현미경의 종류와 상(image) 광학 현미경은 경통 이동식과 재물대 이동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두 현미경은 초점을 조절하기 위해 움직이는 부위가 서로 다릅니다. 경통 이동식은 말 그대로 초점을 맞추기 위해 경통을 이동시킵니다. 대물 렌즈와 접안 렌즈 사이에서 빛의 경로가 뒤집어 지기...
세포는 왜 작을까요? 살아있는 세포는 끊임없이 주위와 물질 교환을 하며 살아갑니다. 세포는 영양분을 흡수하고, 노폐물을 밖으로 내보내야 합니다. 우리 몸을 비롯한 대부분의 세포는 에너지를 얻기 위하여 산소를 흡수해야 합니다. 만일 세포가 크면 어떻게 될까요? 큰 덩어리의 소금이 작은 덩어리보다 녹기...
맥박 심장이 박동하면 혈액이 혈관을 따라 일정한 리듬으로 흐르면서 혈관에 진동을 일으키는데, 이 진동을 맥박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맥박 수를 측정하면 심장의 박동 수를 알 수 있습니다. 표준 맥박수 초등학생: 80~90 청,장년: 60~80 노인: 60~70
유성생식이 무성생식에 비해 유리한 점 생물 중에는 생식세포를 만들지 않고 자신의 몸을 구성하는 세포로부터 세포 분열을 통해 새로운 자손을 만드는 것이 있습니다. 이와 같이 암수 생식세포 없이 이루어지는 생식 방법을 무성 생식이라고 합니다. 우리 주변의 많은 생물들은 대부분 암수가 구별됩니다....
삼투 현상 주위 용액과의 농도 차이에 따라 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방향이 정해지게 됩니다. 삼투 현상에 의해서 용액의 물은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이동합니다. 식물이 토양으로부터 물을 흡수하는 데에도 삼투압이 큰 역할을 합니다. 토양에 있는 낮은 농도의 물이 삼투 현상에 의해 높은 농도의...
자손의 다양성 부모로부터 염색체 하나씩을 물려받아서 새로운 쌍의 염색체 쌍을 구성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아버지가 A와 a를, 어머니가 B와 b를 물려준다고 하면, 자식은 다음의 네 가지 경우로 물려받을 수 있습니다. A 와 B A 와 b a 와 B a 와 b...
시뮬레이션의 설명 빨간색 바의 길이는 생명력을 나타냅니다. 시간에 따라 서서히 줄어듭니다. 생명력이 0이 되면 자연 사망합니다. 녹색 바의 길이는 스테미나(영양상태)를 나타냅니다. 짧으면 배고픈 상태가 됩니다. 영양상태가 0이 되면 굶어서 사망합니다. 토끼 번식 조건: 토끼의 스테미나가 50% 이상인 상태에서, 생명력이 각각...
현미경 현미경은 대물렌즈와 접안렌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대물렌즈는 초점거리가 짧은 렌즈로서, 물체에서 반사되거나 투과된 빛이 대물렌즈와 접안렌즈 사이에 모여서 실상(real image)이 생기도록 합니다. 접안렌즈는 이 실상을 다시 모아서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합니다. 눈으로 보는 상은 허상(vertual image)으로서 접안렌즈가 빛을 모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