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체 분자의 제곱평균제곱근 속력(Vrms)
* 위 시뮬레이션의 기체 분자들은 모두 같은 종류이며, 분자의 색은 단지 식별을 위한 것입니다. 기체 분자 운동론 기체 분자 운동론은 기체 분자의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가설입니다. 이 가설을 설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정을 만족시키는 이상 기체를 … more
물방울에 의한 무지개
무지개가 보일 수 있도록 빗방울(물방울)을 옮겨 놓으세요. 빛의 분산 무지개는 빛의 분산이 가장 잘 나타나는 자연현상입니다. 여러분도 알다시피 무지개는 비가 온 다음에 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바로 물방울이 빛을 굴절, 분산시키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맑은 날 … more
지구와 달의 실제 크기와 궤도
포스터 등에서 볼 수 있는 지구와 달이 옹기종기 모여있는 사진은 눈으로 보기 편하도록 해 놓은 것입니다. 하늘에 보이는 달의 시직경(Apparent diameter)은 약 0.5˚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것은 지구와 달이 생각보다 꽤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것을 말해 줍니다. … more
17분 만에 마이크로비트 마스터하기 + 센서활용 과학실험
자막을 켜고 보시기 바랍니다. 17분 만에 마이크로비트 마스터하기 + 센서활용 과학실험 참고자료 – https://makecode.microbit.org/ – 마이크로비트 : 가속도계 (라디오 송수신) 전과협 공식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Qb9Wbu_KJ5KuSUCJWY6h_g
볼록 렌즈와 오목 렌즈
실상과 허상 어떤 물체를 보면서, 우리는 그 곳에 물체가 있다고 느낍니다. 그런데 물체나 발광체가 그곳에 없는데도, 어떤 반사체 또는 발광체가 그곳에 있다고 느끼는 경우 우리는 그곳에 ‘상(image)’이 있다고 말합니다. 광학에서 말하는 ‘상(image)’은 빛이 굴절 혹은 반사되어서 … more
볼록 거울과 오목 거울
실상과 허상 어떤 물체를 보면서, 우리는 그 곳에 물체가 있다고 느낍니다. 그런데 물체나 발광체가 그곳에 없는데도, 어떤 반사체 또는 발광체가 그곳에 있다고 느끼는 경우 우리는 그곳에 ‘상(image)’이 있다고 말합니다. 광학에서 말하는 ‘상(image)’은 빛이 굴절 혹은 반사되어서 … more